
카카오톡 자동 업데이트 끄기 방법을 안내합니다. 안드로이드에서는 카톡 앱만 개별적으로 끌 수 있고, 아이폰은 모든 앱 자동 업데이트를 통합적으로 중단해야 합니다.
스마트폰을 사용하다 보면 카카오톡이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면서 UI나 기능이 바뀌어 당황할 때가 많아요. 새로운 버전이 불편하다면, 자동 업데이트 기능을 꺼두고 원할 때 직접 업데이트하는 것이 더 편리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안드로이드와 아이폰(iOS)에서 카카오톡 자동 업데이트 끄기 방법을 하나씩 설명드릴게요.
안드로이드 카카오톡 자동 업데이트 끄기 방법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은 개별 앱 단위로 자동 업데이트를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Google Play 스토어 실행
홈 화면에서 플레이스토어를 열어주세요. - 검색창에 ‘카카오톡’ 입력
카카오톡 앱 상세 페이지로 들어갑니다. - 오른쪽 상단 점 세 개 메뉴(⋮) 선택
메뉴 버튼을 누르면 추가 옵션이 열립니다. - ‘자동 업데이트 사용’ 해제
체크 표시를 끄면 카카오톡 앱만 자동 업데이트가 중단됩니다.
👉 다른 앱들은 그대로 자동 업데이트가 진행되므로, 카카오톡만 따로 관리할 수 있어요.
아이폰(iOS)에서 카카오톡 자동 업데이트 끄기

아이폰은 안드로이드처럼 개별 앱만 자동 업데이트를 끄는 기능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대신 모든 앱 자동 업데이트를 통제하는 방식이에요.
- 설정 앱 실행
홈 화면에서 ‘설정’을 열어주세요. - ‘App Store’ 메뉴 선택
아래로 스크롤해 App Store 항목을 찾습니다. - ‘앱 업데이트’ 또는 ‘자동 다운로드’ 비활성화
토글 버튼을 꺼두면 자동 업데이트가 중단됩니다. - 수동 업데이트 필요
이 경우 카카오톡뿐 아니라 모든 앱 자동 업데이트가 멈추므로, 주기적으로 앱스토어에 들어가 직접 업데이트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안드로이드와 아이폰 차이점

- 안드로이드: 카카오톡 앱만 선택적으로 자동 업데이트를 중단할 수 있음.
- 아이폰: 개별 앱 설정 불가능, 모든 앱 자동 업데이트를 통째로 끄는 방식.
즉, 안드로이드는 세밀한 제어가 가능하고, 아이폰은 전체 앱을 통합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마무리
카카오톡은 업데이트 주기가 잦은 편이라, 자동 업데이트를 꺼두면 내가 원하는 시점에 직접 업데이트를 진행할 수 있어요. 특히 새로운 버전의 디자인이나 기능이 불편할 때는 이 방법이 유용합니다. 다만, 아이폰은 전체 앱 업데이트가 함께 꺼지므로 다른 앱까지 신경써야 한다는 점 꼭 기억해두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