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재산세 납부기간과 부과기준, 그리고 납부기한 연장 신청 방법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릴게요.
올해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시스템 장애로 인해 납부기한이 특별 연장되었으니 꼭 확인하세요.
📆 재산세 납부기간
재산세는 매년 7월과 9월, 두 차례에 걸쳐 부과됩니다. 재산세 납부기간으로 가산금 부과됩니다.
- 1기분: 7월 16일 ~ 7월 31일
- 2기분: 9월 16일 ~ 9월 30일
1기분에는 주택 재산세의 절반과 건축물, 선박, 항공기 등이 포함되며,
2기분에는 나머지 주택 재산세 1/2과 토지가 부과됩니다.
✅ 2025년 특별 안내:
행정안전부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인한 불편을 줄이기 위해
2기분 납부기한을 10월 15일까지 연장했습니다.
즉, **재산세 납부기한 = 10월 15일(화)**까지입니다.
🧾 재산세 부과 기준 (과세 기준일)
- 과세 기준일은 매년 6월 1일입니다.
- 이 날 기준으로 등기 명의자가 납세 의무자가 됩니다.
즉, 6월 1일 이후에 부동산을 매매했다면 기존 소유자가 해당 연도 재산세를 납부해야 해요.
공시가격별 공정시장가액 비율
주택 공시가격 구간 | 적용 비율 |
---|---|
3억 원 이하 | 43% |
3억~6억 원 이하 | 44% |
6억 원 초과 | 45% |
📌 참고:
1주택자는 2026년까지 한시적으로 세율이 더 낮게 적용되는 특례가 있어요.
⚠️ 재산세 납부 지연 시 가산금

납부기한을 넘길 경우 아래의 가산금이 부과됩니다.
- 기본 가산금: 3%
- 추가 지연 가산금: 45만 원 이상 체납 시 매월 0.66%
따라서 꼭 기한 내 납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재산세 납부기한 연장 신청 방법

경제적 어려움이나 불가피한 사유가 있다면 납부기한 연장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대상
- 개인 또는 법인 모두 가능
- 납세자 본인 혹은 대리인 신청 가능
신청 사유
- 사업 실패, 화재·홍수 등 재해
- 중병 또는 가족 사망
- 특별재난지역 지정 등 경제적 곤란이 입증되는 경우
신청 요건
- 1가구 1주택자, 만 60세 이상, 주택 보유 5년 이상
- 소득 요건 충족 시 가능
신청 시기 및 방법
- 법정 납부기한 이전(9월 30일 이전) 신청 필수
- 신청 경로:
- 주민센터, 구청 세무과 방문
- 정부24 또는 홈택스 온라인 신청
- 필요 서류: 신청서, 사유서, 신분증, 증빙서류 (필요 시 담보 제출)
⚠️ 주의:
승인 후에도 연장 기간 내 미납 시 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어요. 재산세 납부기간에 납부하시면 가산금 부과되지 않아요.
✅ 한눈에 보는 재산세 핵심 요약
구분 | 내용 |
---|---|
과세 기준일 | 2025년 6월 1일 |
1기분 납부기한 | 7월 16일 ~ 7월 31일 |
2기분 납부기한 | 9월 16일 ~ 10월 15일(연장) |
가산금 | 기본 3% + 매월 0.66% 추가 |
연장 신청 | 경제적 곤란·재해 등 사유 인정 시 가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