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시가스 안전 점검 주기와 절차를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가정·다중이용시설·LPG 점검 기준부터 무료·유료 점검 비용, 보일러 관리 팁까지 확인하세요. 안전과 가스 요금 절약, 두 마리 토끼를 잡는 방법입니다.
도시가스는 안전하게 사용해야 하는 필수 에너지원이에요.
가스 사고는 한 번 발생하면 피해가 크기 때문에 정기적인 안전 점검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도시가스 안전 점검 주기와 절차, 그리고 점검 비용과 보일러 관리 팁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릴게요.
도시가스 안전 점검 주기
1. 일반 가정
- 연 2회(상반기·하반기) 정기 점검
- 보통 6개월 간격으로 진행되며, 가스 누출·배관 상태·밸브 작동 여부 등을 점검해요.
2. 다중이용시설
- 식당, 학원, PC방 등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시설
- 6개월마다 1회 필수 점검
- 화기 사용이 잦아 사고 위험이 높기 때문에 짧은 주기로 관리합니다.
3. LPG 사용 시설
- 소규모 시설 → 연 1회 점검
- 대규모 시설 또는 위험성이 큰 시설 → 6개월마다 1회 점검
- LPG는 밀폐 공간에서 누출 시 폭발 위험이 크기 때문에 점검 필수입니다.
도시가스 안전 점검 절차
- 사전 안내
- 문자·전화로 점검 날짜와 시간 안내
- 현장 방문
- 도시가스 안전 점검원이 직접 방문하여 누출 여부와 시설 상태 확인
- 결과 안내
- 점검 후 이상 여부와 필요한 조치 안내, 필요 시 즉시 수리 진행
도시가스 점검 비용
- 일반 가정: 법정 점검은 무료
- 추가 점검 또는 이사·설비 교체 시 별도 비용 발생
- 보일러·배관 교체: 20만~60만 원 선(종류·설치 환경에 따라 변동)
- LPG 시설 정기 점검: 소규모는 무료, 대규모는 유료(업체별 상이)
💡 Tip: 점검 시 발견된 경미한 부품 교체는 바로 진행하는 편이 장기적으로 비용 절약에 좋아요.
보일러 관리 팁
- 겨울 전 미리 점검
- 난방 시즌 전 보일러 작동·배관·연통 상태 확인
- 배관 청소
- 난방 효율 향상 및 가스 요금 절약 효과
- 온도 조절
- 난방 온도는 20~22도 유지, 온수는 필요 시만 사용
- 정기 필터 청소
- 보일러 필터가 막히면 연소 효율 저하 및 가스 요금 상승
안전 점검의 날


- 매월 4일은 ‘가스시설 안전 점검의 날’
- 밸브 잠금, 호스 균열, 가스 냄새 등을 스스로 확인하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마무리
도시가스 안전 점검은 단순한 의무가 아니라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필수 절차예요.
도시가스 안전 점검 주기를 기억하고, 비용과 관리 팁까지 챙기면 사고를 예방하고 가스 요금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오늘이라도 집안 가스 시설과 보일러를 한 번 점검해 보세요. 안전은 작은 실천에서 시작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