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업급여 신청 전에 꼭 알아야 할 고용보험 180일 계산법! 가입기간 조건부터 피보험 단위기간 계산 방법까지 쉽게 정리해드려요.
“고용보험 180일 채웠을까?”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 꼭 필요한 조건, 바로 고용보험 가입기간입니다.
오늘은 180일 기준이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내가 해당 조건을 충족하는지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
쉽고 정확하게 알려드릴게요 😊
✅ 고용보험 180일이란? 실업급여 조건 중 핵심 기준이에요
고용보험 실업급여를 받기 위해선
최근 18개월(540일) 동안 최소 180일 이상 고용보험에 가입한 기록이 있어야 해요.
이때 ‘180일’은 단순히 6개월이 아니라 실제 근무한 일수 기준이에요.
🔎 예를 들어,
- 3개월 계약직 → 90일
- 2개월 단기근로 → 약 40~50일
- 6개월 이상 정규직 → 180일 이상 가능성 높음
이런 식으로 여러 직장의 근무일수를 합산해서 180일 이상인지 판단해야 해요.
🗓️ 고용보험 가입기간 계산법, 어떻게 계산할까요?
▶ 피보험 단위기간 = 실제 근무일수
‘180일’은 단순 가입이 아니라 피보험 단위기간을 기준으로 해요.
피보험 단위기간이란?
고용보험에 가입돼 있는 상태에서 실제 일한 날짜 수를 의미해요.
✅ 포함되는 기간
- 정규직, 계약직, 단기근로, 일용직 등
- 주 15시간 이상 근무한 날
🚫 제외되는 기간


- 무급휴직, 병가, 출산휴가
- 고용보험 가입 전 일한 기간
- 사업장이 고용보험 미신고한 경우
👉 일용직도 가능하지만, 실제 근무한 날만 포함되며
하루 일하고 하루 쉬는 형태라면 절반만 인정될 수 있어요.
📲 고용보험 가입기간 확인 방법
고용보험 가입기간은 아래 2가지 방법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어요.
▶ 정부24에서 확인하는 방법
- 정부24 접속
- 검색창에 ‘고용보험 자격이력 내역서’ 입력
- 공동인증서 로그인 후 신청
- PDF 파일로 가입이력 확인 및 출력 가능
▶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에서 확인
- 토탈서비스 접속
- ‘조회 > 고용보험 > 피보험자 > 자격이력내역’ 클릭
- 주민등록번호 입력 후 조회
- 연도별 가입일, 상실일, 총 가입기간 등 확인 가능
🧾 가입기간이 모자랄 땐 어떻게 하나요?
실업급여 신청 기준일 기준으로
가입기간이 150~170일 정도라면, 단기 일자리라도 추가로 근무해 180일을 채우는 게 좋아요.
✅ 조건:
- 주 15시간 이상
- 고용보험 가입 사업장
- 계약서와 근로 내역 제출 가능
예를 들어, 1~2개월 아르바이트로도 가입일수를 채울 수 있어요.
✅ 요약 정리
항목 | 내용 |
---|---|
기준 기간 | 최근 18개월 이내 |
가입 필요 기간 | 피보험 단위기간 180일 이상 |
확인 방법 | 정부24, 고용산재보험 토탈서비스 |
계산 방식 | 실제 근무일 기준 (무급휴직 등 제외) |
팁 | 부족한 경우 단기근로로 추가 충족 가능 |
💬 마무리 한마디
고용보험 가입기간 180일, 생각보다 복잡할 수 있지만
제대로만 계산하면 누구나 실업급여 신청 조건을 체크할 수 있어요. 고용보험 180일에 대해 알려드렸는데요.
혹시 이 글을 보고 계신 분 중
최근 퇴사하셨거나 실업급여를 고민 중이라면,
지금 바로 가입이력을 확인해보세요!
당신의 사회 안전망, 놓치지 마세요